이 책은 주로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부분은 미국 장로교를 역사적으로 서술한 것이다.
장로교의 기원인 개신교 종교개혁에서 출발하여, 스코틀랜드 및 신대륙 식민지에서의 발전 그리고 20세기 에큐메니칼 운동을 망라하는 역사가 다루어진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미국 장로교 역사의 주요 인물에 대한 개관이 제공된다. 몇몇 이름들은 누구에게도 익숙한 이름들일 것이다.
광범위한 전국 조직으로서, 장로교는 장로교 스스로 자기의 환경 조건에 영향 받으며, 동시에 그 조건에 영향을 미친다. 결과적으로, 지역, 분야, 정치, 경제 및 성적 차이 등에서 생긴 장로교적 요소들이 논쟁, 분열 그리고 재통합 등의 배후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다원적인 차이와 연합의 이상이라는 미국적 현상에 대한 장로교인들의 반응 양태를 정밀하게 추적한다. 교리, 예배에 대한 내적 관심과 대 사회적 영향이라는 외부적인 고려사항이 혼합된 원심력과 구심력이 결합하여 장로교는 미국의 주요 교파 중 하나가 되었다.
제1부 미국의 장로교 전통
제1장 개혁 신학과 장로교의 발전
제2장 식민지 시대
제3장 19세기의 북장로교
제4장 19세기의 남장로교
제5장 20세기 중반의 미국 장로교
제6장 에큐메니칼 시대의 미국 장로교
제2부 장로교 지도자들의 인명사전
1. 약어
2. 인명사전
3. 미국 장로교 연대기
4. 심층 독서를 위한 에세이
칼빈의 [기독교 강요]와 마찬가지로, 개혁 신학은 신론에 대한 일편 담심의 신학적 성찰로부터 시작된다. 가장 근본적인 질문 단계에서부터, 개혁주의 전통은 매일 매일의 생활에서 크리스천들을 잘못 이끌 수도 있는 지적 시스템의 형성이라는 유혹에 저항한다. 개혁주의 신학자들은 하나님에 관한 시직을 향한 인간의 추구와 자기 자신을 아는 지식의 추구 사이에 필수 불가결한 연결이 있음을 인정한다. 신성에 대한 연구는 필연적으로 인간의 자기-인식으로 이어지며, 역으로, 인성에 대한 연구는 신성에 대한 사색(지적인 요소를 포함하는)으로 연결된다. 개혁 신학의 정수는 바로 이 상호 교호하는 이중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라는 신념이 자리 잡았다. 하나님은 독립적이시며, 전지하시며, 전능하시다. 달리 말하자면, 하나님은 어떤 예외도 없이 모든 만물의 주권자이시다...
- 본문 17 Page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