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의 성경적 역사
A BIBLICAL HISTORY OF ISRAEL
[특징]
▪ 저자들은 성경에 이스라엘 역사에 대한 이야기와 그 해석인 증언, 그리고 고대 근동의 문학과 달리 역사적 소재가 풍부한 문학이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이로써 과거 대한 지식을 알 수 있으며 그 의미 또한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들은 본서에서는 역사로부터 이끌어내는 명시적인 교훈을 제시하지 않으려 한다. 그 이유는 역사에 대한 기술만으로도 충분히 이 책이 방대하며 오늘날 역사책에 ‘사실’ 이외에 도덕적 교훈이나 경고를 제시하는 것은 금기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로써 독자들은 이스라엘 역사에 대한 전개에 집중하며 성경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추천 독자] - 추천사(안근조 박사 /호서대학교 구약학 교수) 중에서 발췌
▪성경의 문예적 읽기에 관심을 갖는 독자들
▪모순된 본문들의 해결에 관심하는 성경해석자들
▪기존의 ‘이스라엘 역사’ 저술들이 결여하고 있었던 신앙적 메시지에 갈급했던 신앙적 연구가들
▪성경의 권위 회복을 열망했던 크리스천들
추천사
서문 14
역자서문 16
가나안 땅의 고고학적 시대구분 연표 25
약어표 26
1부 역사, 역사 서술 그리고 성경
1장 성경적 역사의 죽음? 31
1. 사망 기사에 대한 분석 32
2. 성경적 역사는 정말로 죽었는가? 36
1) 성경 본문과 과거 37
2) 고고학과 과거 38
3) 이념과 과거 40
4) 사망 기사가 조금 일찍 나갔을까? 41
3. 오래된 질병: 최초의 사례연구들 42
1) 소긴(Soggin)의 이스라엘 역사 43
2) 밀러와 헤이즈(Miller and Hayes)의 이스라엘 역사 51
4. 역사 서술의 간략한 역사 58
5. 이스라엘 역사의 역사 67
1) 족장 전승들 68
2) 모세/여호수아 전승들 71
3) 사사기 전승들 74
4) 결론 81
6. 이 환자는 살겠는가? 83
2장 아는 것과 믿는 것: 과거에 대한 믿음 89
1. “과학적 역사”에 대한 재고찰 92
1) 과학과 과학 철학 92
2) 과학으로서의 역사: 의견 불일치의 역사 94
2. 증거, 전승 그리고 과거 101
1) 증거(Testimony)와 지식 104
2) 역사 서술의 역사에 대한 재고찰 112
3장 이스라엘 역사에 대해 알아가기 115
1. 사실 확인과 허구 드러내기 120
2. 전대의 증언과 후대의 증언 125
3. 이념과 이스라엘의 과거 138
1) 고고학과 과거 140
2) 성경 이외의 문서들과 이스라엘의 과거 142
3) 이념과 역사 서술 151
4) 이념과 비판적 사고 153
4. 유비와 이스라엘의 과거 154
5. 결론 160
4장 이야기와 역사: 과거에 대한 이야기 163
1. 이야기체 역사의 위기와 부활 165
2. 문학적 읽기와 역사적 연구: 행복한 부부인가 아니면 벌써 이혼했 어야 하는 부부인가? 172
3. 이야기성(Narrativity): 실재인가 허구인가? 176
1) 삶의 이야기성(Narrativity of Life) 179
2) (성경) 역사 서술의 이야기성과 허구의 문제 182
4. 역사 서술: 예술인가 아니면 과학인가? 185
5. 이야기체 역사 서술 읽기 190
6. 성경 내러티브의 시학(Poetics) 195
7. 예: 본문 안에서의 솔로몬과 역사 안에서의 솔로몬 200
8. 요약과 전망 205
5장 이스라엘의 성경적 역사 207
2부 아브라함으로부터 페르시아 시대까지의 이스라엘의 역사
6장 가나안 정복 이전 223
1. 족장 시대에 대한 사료들: 창세기 225
2. 족장 이야기 226
1) 신학과 역사로서의 족장 이야기 229
3. 족장들의 역사와 본문의 역사 230
4. 고대 근동 문화 속의 족장들 233
5. 족장들의 사회학적 배경 244
6. 창세기 14장과 족장 시대의 역사 247
7. 요셉 이야기(창 37-50장) 251
1) 문학적 분석 252
2) 요셉 이야기의 신학적 의도 254
3) 이집트에서의 요셉 256
8. 모세의 탄생 260
9. 모세의 소명과 이집트 재앙들 263
10. 출애굽과 홍해 건너기 267
11. 출애굽 연대 270
12. 광야 방랑 274
1) 이집트에서 시내 산까지 274
2) 시내 산에서 가데스 바네아까지 그리고 모압 평지까지 279
13. 결론 283
7장 가나안 땅에 정착 285
1. 이스라엘 정착에 대한 사료들 286
2. 이스라엘의 가나안 땅 출현에 관한 학문적 가설들 287
1) 정복 이론(Conquest Model) 288
2) 평화 유입 이론(Peaceful Infiltration Model) 291
3) (농민) 봉기 이론 ([Peaseant] Revolt Model) 292
4) 다른 내생적 가설들 297
3. 성경 본문 읽기(여호수아와 사사기) 305
1) 여호수아 309
2) 사사기 323
3) 여호수아와 사사기를 함께 생각하기 340
4. 성경 이외의 문서들 읽기 345
1) 메르넵타 석비 345
2) 아마르나 편지들 349
5. 유물들 읽기 354
1) “여리고, 아이, 하솔, 라이스”의 고고학 356
2) 다른 중요한 유적지들 375
3) 철기 제1시대의 고원 지대 유적지 382
6. 문서 증거와 유물 증거를 통합하기 386
7. 결론 390
8장 초기 왕정 시대 393
1. 초기 왕정 시대의 사료 396
2. 초기 왕정 시대의 연대기 404
3. 왕정 전야(삼상 1-7장) 409
4. 이스라엘의 왕 요구(삼상 8-14장) 420
5. 다윗의 등극과 사울의 쇠퇴(삼상 15-31장) 436
1) 다윗은 역사적 인물인가? 438
2) 전승 속의 다윗이 얼마나 정확하게 실제 역사적 다윗의 모습을 반영하 는가? 441
3) 성경 이야기가 얼마나 정확하게 다윗의 특정한 행동들을 서술하는가? 450
4) 다윗의 왕위 등극에 관한 성경 이야기가 얼마나 많은 역사적 개연성을 가지는가? 457
6. 다윗의 왕국(삼하 1-10장) 463
1) 예루살렘의 문제 463
2) 제국의 문제 467
7. 다윗의 가문과 후계자(삼하 11-24장) 471
8. 결론 480
9장 후기 왕정 시대: 솔로몬 483
1. 후기 왕정 시대의 사료 483
2. 후기 왕정 시대의 연대기 489
3. 솔로몬 왕의 통치 497
1) 솔로몬의 초기 통치 497
2) 솔로몬의 이스라엘 지배 500
3) 솔로몬과 고대 근동 505
4) 솔로몬의 건축 사업들 511
5) 솔로몬과 이스라엘의 종교 515
10장 후기 왕정 시대: 분열 왕국 519
1. 이스라엘의 분열: 르호보암에서 오므리까지 519
2. 오므리 왕조 시대 529
3. 예후부터 사마리아의 멸망까지 539
4. 사마리아의 멸망부터 예루살렘의 함락까지 553
11장 포로기와 포로 후기 567
1. 포로 시대의 사료 567
2. 예루살렘의 함락 569
3. 파괴의 범위 571
4. 유배의 범위 573
1) 남은 자들 577
2) 유배에 대한 의문 579
5. 바벨론의 함락 580
6. 포로 이후 시대의 사료 582
7. 초기 포로 이후 시대 583
1) 고레스 칙령 583
2) 세스바살과 스룹바벨의 정체와 역할 586
3) 포로 이후 시대의 예후드(“유대”) 총독들과 그 이웃들 591
4) 시민-성전 공동체? 592 5) 성전 건축 593
6) 초기 포로 이후 시대에 누가“ 예후드의 적들”이었나? 597
8. 중기 포로 이후 시대: 에스더 599
9. 후기 포로 이후 시대 604
1) 에스라와 느헤미야의 순서와 사명들 606
2) 페르시아 정치의 문맥에서 본 에스라와 느헤미야 609
3) 누가 후기 포로 이후 시대의“ 예후드의 적들”이었나? 611
4) 신구약 중간기로 전이 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