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의 성경 변질론』은 모든 무슬림들이 성경에 대해 폄하하고 비판함으로 기독교 신앙의 근저를 허물어 버리는 무슬림의 ‘성경 변질론’이라는 단어가 무슨 뜻인가를 밝히고 있다. 의미 왜곡과 본문 왜곡이라는 성경 변질론에 관한 무슬림들의 두 가지 입장을 설명하고, 무슬림들의 성경 변질론의 주장에 관해 육하원칙에 따라 탐구한다. 성경 변질론이 제기된 역사적, 정치적, 종교적, 꾸란적 배경과 이유, 변질론자들의 입장, 변질 방법, 변질 내용을 면밀하게 탐구하여 성경 변질론이 전혀 입증할 수 없는 오해와 착각임을 밝히고 있다.
이동주 박사
전,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교수
추천의 글 1 (이동주 교수|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 7
추천의 글 2 (전호진 총장| 캄보디아장로교신학교) - 10
저자 서문 - 12
서론 - 23
제1부 이슬람의 성경 변질론 개관 - 35
제1장 이슬람의 경전 이해 - 37
1. 이슬람의 기본 신앙
2. 이슬람의 경전 이해
3. 이슬람의 성경 이해
제2장 이슬람의 성경 변질론 - 51
1. 성경 변질론의 정체
2. 성경 변질론을 주장한다는 꾸란 본문
3. 성경 변질론에 따른 무슬림들의 두 입장
제3장 성경 변질론의 배경과 근본적인 이유 - 79
1. 무함마드의 유대인과 그리스도인과의 관계적 연관성
2. 무함마드 도래 예언과의 연관성
3. 성경 변질론 이후 이슬람의 변화
제2부 성경 변질론 비판 - 97
제1장 성경에 관한 꾸란과 하디스의 언급 - 99
1. 성경에 관한 꾸란의 긍정적인 언급
2. 성경에 관한 꾸란의 부정적인 언급
3. 성경에 관한 하디스의 언급
제2장 성경 변질론의 한계와 모순 - 125
1. 변질 시점의 문제
2. 변질 주도자의 문제
3. 변질 방법론의 문제
4. 변질 내용의 문제
제3장 성경 변질론에 담긴 오해 - 157
1. 계시 개념의 오해
2. 정경화 개념의 오해
3. 오해와 이해
제3부 성경의 변질 불가능성 증명 - 213
제1장 성경과 꾸란의 내증 - 215
1. 신론에 따른 증명
2. 성경론에 따른 증명
제2장 이론적 증명 - 239
1. 신학적, 과학적 증명
2. 논리적, 역사적 증명
3. 해석학적 증명
제3장 변질론자들에게의 실제적 적용과 제언- 259
1. 이 주장에 주의하라!
2. 성경을 읽고 연구하라!
3. 꾸란 비평을 시도하라!
결론 - 311
참고문헌 - 321
저자는 성경이 변질되었다고 주장하는 이슬람의 현실의 기저를 들추어
서 그 주장에는 이론적 근거가 결여되었으며, 자신들의 경전의 진정성
을 주장하기 위한 계략적 수순임을 드러내고 있다. 나아가 성경 변질론
이 가지고 있는 한계와 모순을 경전적인 입장에서만이 아니라 다양한
이론적 근거를 들어 밝혀내고 있다.
전호진 박사
캄보디아 장로교신학교 총장
2부 성경 변질론 비판 > 3장 성경 변질론에 담긴 오해 > 2. 정경화 개념의 오해 >
2) 꾸란의 편집 > (3) 현존하는 꾸란
현존하는 꾸란은 앞에서 논의한 3대 칼리프 시대에 편집되어 전수되고 있는 114개의 수라들의 결집물이다. 또한 현존하는 꾸란은 무슬림들의 일반적인 주장과 달리 우트만의 꾸란이 그대로 내려온 것이 아니라, 시간이 흐르면서 모음 표시가 더해지거나 표준 판형이 결정되는 등의 변화를 거쳐 발전되어 왔다.
7세기 말, 꾸란은 한 이라크 총독에 의해 문자 구분 표시점과 모음 표시부호 등이 더해졌고 보다 완성된 형태로 발전했다. 이 꾸란이 전 이슬람권에서 권위를 인정받았고 그 후 수세기를 거쳐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완성되었다. 1919년, 이집트 왕실의 후원으로 카이로에서 꾸란이 출간되었는데 이 후에도 여러 판형을 거듭한 결과 현재는 표준 이집트판이 공식적으로 통용되고 있다.
꾸란의 공식 편집본의 원본은 현존하지 않는다. 어떤 이들은 그 편집원본이 터키에 보존되어 있다고 주장하지만 현존하는 가장 초기의 꾸란 일부는 이슬람 2세기의 것이다. 이 본문은 현재의 꾸란이 기초하고 있는 유일한 것이지만, 여러 가지 독본들을 포함하고 있기까지 하다. 이슬람력(AH) 322년(주후 923년)에 다양한 독본들이 공식적으로 일곱 개로 제한되었다.
- p.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