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C는 성경 66권 다음의 67권째 메시지입니다.

유대교의 역사(고대 근동 시리즈 34)

저자/역자 정연호
정가 12,000원
판매가 10,800
발행일 2021년 5월 20일
정보 신국판 양장 / 240면
ISBN
포인트 5% 적립
수량(0)
선택상품 갯수 하나씩 증가 선택상품 갯수 하나씩 감소
장바구니담기 바로구매하기

도서소개

유대교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바리새파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이 책으로 인해 당신은 유대교에 대한 갈증이 해소될 것이며 바리새파를 재발견하게 되는 기회가 될 것이다.”

예루살렘에 소재한 홀리랜드 대학교(University of the Holy Land, UHL)의 교수, 정연호 박사의 유대교의 역사적 과정을 『유대교의 역사: 바리새파의 재발견』을 통해 파헤친다.

이 책은 “아브라함으로부터 그 기원을 찾는 유대교의 뿌리와 그 역사를 통시적으로 범주화하되 먼저 유대교의 정의와 함께 역사적 발전의 거시적 다섯 단계의 핵심적 요소들을 간결하고 적절하게 설명한다.”(김진섭).

또한, 이 책은 유대교의 성경 해석의 원칙과 유연성의 문제를 다루며, 예수 시대 주요 등장인물인 대제사장, 바리새인과 서기관, 사두개인과 열심당, 에세네파 등 그들의 출현과 그 역사적 과정에 집중하고 있다.

『유대교의 역사: 바리새파의 재발견』의 매력은 “유대교의 성경 해석 방법이자 미쉬나와 탈무드를 낳은 미드라쉬적 해석을 소개하며 신약성경의 많은 부분이 미드라쉬적 성경 해석을 통해 나온 것임을 구체적 실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이문범).

이 책을 통해 한국 교회가 유대교의 전통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전되기를 기대해 본다.

“이번 책에서 개정 증보된 내용은 먼저 현대 이스라엘의 변화에 따라 크게 유대교의 개혁파, 보수파, 정통파에 어떤 변화가 있게 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구약성경과 함께 유대교의 양대 경전이 되는 탈무드를 낳은 기반이 되었던 성경 해석의 원칙, 즉 미드라쉬 해석 원칙을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고 신약성경에서 이러한 미드라쉬 해석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좀 더 자세하게 다루었다.”

-개정증보판 서문 중에서-

저/역자

작가소개

저자 정연호

저자 정연호는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서부초등학교, 안동중학교, 대구 계성고등학교를 거쳐 국민대학교에서 법학을, 장로회신학대에서 교역학(M.Div.)과 구약학(Th.M.)을 공부하였다. 장신대학교 예루살렘 성지연구소의 현지 책임자로 파견되어 히브리대학교(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에서 성서학과 유대학을 공부하였고 철학박사(Ph.D.) 학위를 취득하였다. 그가 히브리어로 쓴 박사 학위 논문이 영미권 최고 권위의 출판사인 ‘T&T Clark’에서 The Sin of the Calf: The Rise of the Bible’s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Golden Calf (2010년)라는 타이틀로 출판되었다.

2005년 이래로 예루살렘 소재의 홀리랜드 대학교(University of Holy Land, UHL)에서 구약학, 유대학, 성서지리학을 가르치며 아시아 학생처장, 대외협력부총장으로 섬기고 있다.


역자소개

목차

추천사 1_김 진 섭 박사 | 백석대학교평생교육신학원 학장, 사) 이스라엘포럼 대표 1
추천사 2_이 정 숙 박사 |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교회사 교수, 5대 총장 5
추천사 3_최 인 식 박사 | 서울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7
추천사 4_이 문 범 박사 |『 역사 지리로 보는 성경』 저자, 총신대학교 겸임교수 9

초판 서문 16
개정증보판 서문 18

제1장 유대교의 개념 20
1. 유대교(유대이즘)란 무엇인가? 20
2. 유대교의 기원과 역사 21
3. 이스라엘 종교와 유대교 22

제2장 바리새파 유대교와 오늘날의 유대교 25
1. 바리새파 유대교 26
2. 계몽주의와 유대교파: 정통파, 개혁파, 보수파 27
3. 근대 시민 사회와 유대교 28
4. 게토(ghetto)와 유대인 자치(autonomy) 28
5. 유대인들의 게토에서의 해방과 유대교에 대한 도전 30
6. 개혁파 유대교 32
7. 보수파 유대교 36
8. 정통파 유대교 40
9. 현대 이스라엘과 유대교의 영향력 45

제3장 바리새파 유대교: 제2성전 시대 49
1. 바리새파 유대교(Pharisaism)란? 49
2. 바리새파와 하씨딤 56
3. 바리새파 운동 60
4. 바리새파 출현의 종교적 정황 67
5. 바리새파의 영향력 70
6. 바리새파의 영향력의 시대별 고찰 73
7. 바리새파의 영향력의 평가 111

제4장 랍비 유대교(Rabbinical Judaism): 미쉬나와 탈무드 시대 119
1. 유대교의 경전과 학자들 119
2. 시대별로 본 유대교 학자들 120
3. 힐렐(Hillel)과 샤마이(Shammai): 미쉬나의 뿌리 121
4. 탄나임 (tannaim) 시대 127
5. 탄나임 학자들과 미쉬나(Mishnah, 158 (מ שְִנהָ
6. 아모라임(Amoraim, אֲמוֹרַאִים ) 학자들과 탈무드 162
7. 유대교 학자들과 학당 177

제5장 에스라와 미드라쉬 그리고 성경 185
1. 유대교의 역사: 에스라에서 탈무드까지 185
2. 바리새파와 미드라쉬 190
3. 바리새파와 예수 그리스도 그리고 신약성경 199
4. 미드라쉬적 접근1: 정경적 접근(Canonical Approach)에 대한 보완 210
5. 미드라쉬적 접근2: 21세기와 성경 223

참고 문헌 234

추천사

이 책의 제5장 “에스라와 미드라쉬 그리고 성경”은 오늘 여기를 사는 이방인 그리스도인인 우리가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을 어떻게 올바로 읽을 것인가에 대한 값진 실천적 적용을 살피게 하는핵심 부분이 된다.

김 진 섭 박사 | 백석대학교 평생교육신학원 학장, 사) 이스라엘포럼 대표


이 책은 성경과 교회사를 진지하게 생각하는 모든 사람에게 매우 유용한 교과서요, 기독교 교양 심화 서적이라 하겠다.

이 정 숙 박사 |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교회사 교수, 5대 총장


“기록된 말씀 이면에 감추어진 의미를 추구”하는 바리새파 유대교의 미드라쉬적 해석 전통이 신약성경에서 발견되고 있다고 하는 사실은 매우 중요한 성서 해석학적 관점을 제출한 것이다.

최 인 식 박사 | 서울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정연호 교수님의 『유대교의 역사: 바리새파의 재발견』은 신약성경의 역사와 배경을 아는데 필독서일 뿐 아니라 성경 해석에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는 책이라 할 수 있다.

이 문 범 박사 | 『역사 지리로 보는 성경』 저자, 총신대학교 겸임교수

본문중에

B.C. 538년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온 귀환민들이 B.C. 515년 스룹바벨 성전을 봉헌하면서 시작된 제2성전 시대는 유일한 주권 독립 국가였던 하스모니안 왕가 시대(B.C. 142-63년)가 저물고 A.D. 70년 성전이 파괴되면서 종국을 맞는다. 그 후 유대인들은 전 세계로 흩어지게 되는데, 특히 서방 세계에 많은 유대 공동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들은 서방의 반유대주의에 의해 수많은 박해를 받게 되고, 그 박해의 절정으로 나타난 홀로코스트(나치의 600만 학살)라는 극심한 고난의 터널을 거쳐 결국 1948년 이스라엘 국가를 재창건하게 된다. 아브라함에 의해 시작된 야훼 신앙의 종교적 모습은 바벨론 포로 이전의 이스라엘 종교와 포로 이후의 유대교로 나타난다.

p. 22



구약에 ‘남은 자’ 혹은 ‘남긴 자’의 사상이 있다(왕상 19:18, 사 10:22; 11:16; 렘 23:3; 31:7; 50:20; 겔 14:22; 미 2:12 등). 신약의 ‘나중까지 견디는 자’(막 13:13)와 상통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B.C. 8-6세기를 거치면서 이스라엘 12지파 중 유다(Judah) 지파—엄격히 말하면 베냐민 지파 포함—가 살아남는다. 그래서 후세의 사람들은 이 ‘남은 자’들의 지파 이름을 따라, 이들의 역사와 종교에 대해 유대이즘(Judaism) 혹은 유대교라는 이름을 붙인다.

p. 50


바리새파에 의하면 이 구전 율법은 모세 곧 하나님으로부터 비롯되었다. 해석에서 비롯된 구전 율법이 하나님에게서 나왔다는 주장은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이 해석을 통해서 현재화된다는 신학적 명제의 창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런 명제는 바리새파의 해석, 곧 미드라쉬적 해석을 통해 구약성경으로부터 신약성경의 도출이 가능하게 되었고, 구약성경 자체가 영원한 진리이신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증언이라는 요한복음 5:39의 말씀을 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

p. 190


19세기 이래 구약성경에 대한 역사 비평적 접근은 다양한 해석학적 방법론으로 가지치기를 하면서, 현대 성서학자들에게 외면하기 어려운 해석 영역으로 자리를 잡았다. 비평적 접근의 자세한 공과(功過)를 따지기 전에, 부인할 수 없는 한 가지 사실은 우리가 조금만 학문적 식견을 가지고 성경을 읽어도, 성경의 모든 말씀이 어느 날 갑자기 하늘에서 떨어진 것이 아니라는 점을 성경 자체가 보여 주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측면에서 비평적인 성경 연구의 동기는 성경 자체에 내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p. 210


E. H. 카르(E. H. Carr)는 역사란 무엇인가란 질문에 대해 “우리의 대답은 … 시대에 처해 있는 우리의 위치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하였고, “과거는 현재의 빛에서만 우리에게 이해될 수 있다”고 하였다. 역사의 힘은 과거 사실의 객관성보다는 시대의 소명에 응답하는 해석에 있다고 할 것이다. 역대기 역사가는 자기 민족이 처한 시대적 현실을 보고, 사무엘과 열왕기의 역사를 재해석하였던 것이다.

p. 227

Quick Menu

  • 통합검색
  • P&R
  • 밀알서원
  • 총판
  • 전자책
  • 연락처
  • 페이스북

문의전화 02.586.8762

페이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