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C는 성경 66권 다음의 67권째 메시지입니다.

중세교회 신학

저자/역자 David N. Bell 지음 / 이은재 옮김
정가 20,000원
판매가 18,000
발행일 2012년 12월 01일
정보
ISBN 978-89-341-1251-8
포인트 5% 적립
수량(0)
선택상품 갯수 하나씩 증가 선택상품 갯수 하나씩 감소
장바구니담기 바로구매하기

도서소개

중세교회 신학
Many Mansions:An Introdution to the Development and Diversity of Medieval Theology, West and East

1. 도서 소개
중세 시대 동방교회와 서방교회의 신학을 총망라!

저자인 데이비드 벨은 중세 시대만큼 다양하고 치열했던 신학적 논쟁들이 없었음을 보여준다. 신앙과 이성의 대립으로 단순화 시키는 기존의 중세신학 연구서들과는 달리, 책의 원제목처럼 중세신학에는 수많은 집들이 있음을 잘 보여준다. 본서는 이성과 계시의 문제, 수도원 운동, 이단과 종교재판 등과 같은 흥미로운 주제들, 특히 필리오케 논쟁, 관상주의 논쟁과, 성상파괴 논쟁과 같은 동방과 서방을 갈라놓은 주제들을 다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훗날 종교개혁의 신학적 원인 중 하나로 손꼽을 수 있는 예정론과 이신칭의, 성모 마리아 숭배, 연옥과 림보의 문제 등을 다룸으로써 중세에 대해 암흑기라고 일방적으로 치부해버리는 편협한 사고를 떠나 합리적인 평가를 할 수 있게 한다. 더 나아가 이 책을 통해서, 이전에는 듣지 못했지만 중세기의 오랜 세월 교회와 성도의 입이 되어준 수많은 중세 신학자들의 이름들을 만날 수 있다.

[특징]
▪ 중세신학의 모든 핵심적 신학 논제들을 다룬다.
▪ 동방과 서방, 양측의 입장들을 균형 있게 제시한다.
▪ 저자 특유의 방식으로 난해한 중세신학의 개념들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풀어 설명한다.

[추천 독자]
▪ 중세신학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싶은 독자
▪ 교부시대와 종교개혁시대의 다리를 놓을 연구서가 필요한 독자

저/역자

작가소개

데이비드 N. 벨 (David N. Bell)

영국 Leeds University(B. A.)
영국 University of Oxford(M. Phil., Dr. Phil)
캐나다 Memorial University of Newfoundland 비교종교학 교수


역자소개

이은재

감리교신학대학교(B.A., Th. M.)
독일 Eberhard Universität Tübingen(Dr. Phil.)
현, 감리교신학대학교 교회사 교수

목차

추천사(정병식 박사, 서울신학대학교 교수)

서문
역자서문
삽화에 대한 설명
1 서방교회의 발전
2 동방의 발전: 분열의 길
3 수도사들과 수도원생활
4 신앙과 이성
5 이성의 한계
6 이성을 넘어서: 중세의 이단
7 삼위일체 이해하기
8 삼위일체 경험하기
9 하나님과 하나님의 빛: 관상주의 논쟁
10 성령의 발현

11 왜 하나님께서 인간이 되셨나?
12 하나님은 어떻게 인간이 되셨는가?
13 성모 마리아 숭배
14 성육신과 성화상
15 성만찬의 신비
16 은혜의 통로
17 진노의 그릇과 자비의 그릇
18 마지막 일에 관하여
색인

추천사

천년에 가까운 중세를 한 권의 책에 담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이다. 역사가는 나름대로의 기준을 가지고 서술할 대상을 선택하며, 그것을 모아 한 시대를 갈무리한다. ‘암흑시대’라며 한 때 터부시 했던 중세가 최근 인문사회, 문화, 예술 등의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의 소재가 되고 있다. 암흑시대라는 고정관념이 약화되면서 중세만의 독특성이 설득력을 얻은 결과이다. 인문사회 분야에서의 중세에 대한 학문적 성과가 신학적 성과보다 더욱 풍성한 이때에 데이비드 N. 벨의 『중세교회 신학』(Many Mansions)이 한국어로 번역 소개되어 매우 반갑다. 이 책은 인문사회 분야에서 쉽게 다루지 않는 서구 중세의 교회와 신학의 내용을 제공하여 중세에 대한 통섭적 시각을 가능케 하는 또 하나의 유익한 퍼즐일 수도 있다.
정병식 박사 (서울신학대학교 교수)

본문중에

더욱 극심한 교회의 분리는 다음 세기에 벌어졌다. 사건의 발단은 예전적인 관습에 대한 사소한 문제 때문이었다. 즉, 성만찬시 사용되는 빵이 발효시킨 것인지 발효시키지 않은 것인지에 관한 논쟁 때문이었다. 누룩을 넣은 빵은 헬라 동방교회에서, 누룩을 넣지 않은 빵은 라틴 서방교회에서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신학적 논쟁은 양쪽 진영 모두에게 아무런 감동을 주지 못하였다. 빵에 관한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것이었다. 그런데 이 당시 무교병의 문제는 매우 거대한 빙산에 드러난 작은 부분에 불과했다. 무교병에 대한 논쟁은 상호간의 무지와 편견, 적개심 그리고 혐오의 시간을 상징하였다.
-본문 60p-

헬라인들은 말하기를, 자신들은 성부가 누구이시며 무엇이신지를 알고 있다고 한다. 즉, 그는 출생하지 않은 창조자이며, 신성의 근원이다. 또한 성자는 삼위일체의 둘째 위격이며, 성부로부터 영원히 출생하였다. 그러나 성령은 누구이며, 무엇인가? 서방교회에 따르면 성령은 단지 ‘상호작용’(interaction)이거나 ‘두 위격에 공유된 어떤 것’(common to both)이다. 성령은 단지 성부와 성자의 한 부분에 일치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두 하나님의 ‘겹쳐진’(overlap) 위격에 불과하다. 이것은 분명 성령을 헐뜯는 것이며 그의 지위를 낮추는 것이다. 성령을 정의한다는 것은 그 자신의 용어가 아니라 성부와 성자의 용어 안에서 하나님에 대해 말하는 것이지 성령에 대해서는 거의 말하지 않는다. 실제로 성령을 삼위일체에서 파생적이며 종속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으로 소급시켜 말한다면, 그것은 오랫동안 정죄를 받았던 아리우스와 그의 추종자들을 되살리는 것이다.
-본문 229, 230쪽-

둔스 스코투스가 사망한지 500년이 더 지난, 1854년 12월 8일에야 비로소 교황 피우스 9세(Pius IX)가 로마 가톨릭의 신앙조항으로서 마리아 무흠수태 교리를 선언하였다. 일반적으로 동방정교회는 이 교리를 받아들이지 않았으나, 서방교회는 로마교회와의 교류에서 이를 거부하지 않았다.
-본문 296p-

성만찬 논쟁의 결론은, 성만찬 변화의 실재에 대한 재확인이었으며, 화체설이라는 용어의 확립은 성만찬에 대한 대중적인 경건(헌신)의 급속한 성장에 기여했다. 이는 또한 매우 이른 시기 내려온 전통으로, 교회에서 지정된 성례전에 대한 헌신을 부추겼다. 13세기 중반에 이 대중적인 경건심은 그 정점에 이르렀다.
-본문 340p-

동방교회 신학자들에 따르면, 천국이나 지옥의 두 가지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서방은 림보와 연옥이라는 두 가지 대안을 덧붙였다. 이제 림보의 교리를 검토함으로써 우리의 연구를 시작해보자. 림보라는 용어는 라틴어 ‘limbus’, 즉, ‘경계, 가장자리’의 영어 형태이고, 이는 일반적으로 ‘유아 림보’(limbus infantium)를 지칭한다. 우리가 16장에서 보았듯이, 이것의 존재를 가정하는 중요한 이유는 세례받기 이전에 죽었고 따라서 원죄에 의해 더럽혀졌지만, 그들 자신이 죄를 범하지는 않았던 아이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었다.
-본문 387p-

Quick Menu

  • 통합검색
  • P&R
  • 밀알서원
  • 총판
  • 전자책
  • 연락처
  • 페이스북

문의전화 02.586.8762

페이지 맨 위로